2019. 7. 28. 15:21ㆍBusiness
주식이란?
간단히 말하자면, 주식은 '지분' 즉 기업의 부분적인 소유권을 나타냅니다. 예를 들어, Tesla의 주식 1주를 갖고 있다고 한다면, 이는 그 기업의 아주 작은 부분을 소유한다는 뜻입니다. 따라서 회사의 미래 수익의 일부를 차지할 권한을 갖게 됩니다. 예를 들어, 총 발행주식(shares outstanding)이 2000주인데 100주를 가졌다면, 그 회사의 5%(=100/2000)만큼 소유권을 차지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.
주식 시장이란?
주식 시장은 말 그대로 주식을 파는 사람, 즉 매도자(賣渡: 팔아 넘기다)와 주식을 사는 사람, 즉 매수자(買受: 사서 넘겨받다)가 모여서 형성되는데, 기업이 public market에 회사의 소유권을 등재하여 사업을 확장하는데 필요한 추가적인 자본을 모을 수 있게 해줍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m9J2q/btqw6ovRjHE/uG20khOGKBQsfZxqVDVcoK/img.png)
미국 주식 시장의 규모는 $34 trillion로 (전세계 나머지 주식 시장의 가치: $44 trillion), 전세계 주식의 17%가 미국 시장에 있는데, 이렇게 갯수에 비해 전체에서 큰 부분을 차지할 수 있는 이유는 미국 테크 주식, 특히 FAANG(Facebook, Apple, Amazon, Netflix, and Google)이 강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입니다.
주식의 종류
시가총액 규모에 따른 분류
- Mega Cap: 시가총액(market capitalization)이 $100 billion을 초과하는 종목.
- Large Cap: 시가총액 $10-100 billion 사이인 종목
- Mid Cap: 시가총액 $2-10 billlion 사이인 종목
- Small Cap: 시가총액 $300 million - $2 billion 사이인 종목
- Micro Cap: 시가총액 $50-300 million 사이인 종목
- Nano Cap: 시가총액 $50 million 이하인 종목
시가총액에 따른 분류를 참고할때, 각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고유한 리스크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.
참고 자료:
결국 주식은 기업에 대한 투자자의 기대 가치를 반영하고 있으므로, 업계의 내부자가 아닌 이상 고급 정보를 쉽게 얻기 힘듭니다. 따라서, 효과적인 주식 거래를 위해서 평소에 정보 소스는 다각화하고 경제 외에도 문화적/정치적 흐름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합니다.
- CNBC
- Bloomberg
- WSJ
- The Economist
- http://finviz.com/ - 포트폴리오 구성할 때, 수많은 주식 중에 본인의 기준에 가장 적합한 것을 찾는데 도움이 되는 사이트
- http://www.marketwatch.com/
- http://dealbook.nytimes.com/
- http://seekingalpha.com/
- http://www.sec.gov/
- http://www.valueinvestorsclub.com/value2/
- http://finance.yahoo.com/
FINVIZ.com - Stock Screener
× Ever heard of Finviz*Elite? Our premium service offers you real-time quotes, advanced visualizations, technical studies, and much more. Become Elite and make informed financial decisions. Find out more --> Upgrade your FINVIZ experience Join thousands of
finviz.com
To be continued in "#2 주식 투자에서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원리와 원칙"
'Busines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How to Become Self-Employed | 자영업자로 일 년 반 동안 느낀 점 & 노하우 (0) | 2020.04.08 |
---|---|
마켓 컬리 CEO 김슬아님: 잘 아는 분야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이 바로 사업 (0) | 2019.07.19 |
한국에서 시도한 '비대칭적 리스크'에 대한 고찰 (0) | 2019.03.22 |